1️⃣ 가까운 수
문제 설명
정수 배열 array와 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array에 들어있는 정수 중 n과 가장 가까운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1 ≤ array의 길이 ≤ 100
- 1 ≤ array의 원소 ≤ 100
- 1 ≤ n ≤ 100
- 가장 가까운 수가 여러 개일 경우 더 작은 수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array | n | result |
[3, 10, 28] | 20 | 28 |
[10, 11, 12] | 13 | 12 |
입출력 예 #1
- 3, 10, 28 중 20과 가장 가까운 수는 28입니다.
입출력 예 #2
- 10, 11, 12 중 13과 가장 가까운 수는 12입니다.
💻 나의 풀이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rray, int n) {
int answer = 0;
Arrays.sort(array);
for(int i=0; i<array.length; i++){
if(Math.abs(array[i]-n) < Math.abs(answer-n)){
answer = array[i];
} else if(answer == n){
break;
}
}
return answer;
}
}
처음엔 이렇게 작성하였는데 테스트 17, 18에서 틀렸습니다.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rray, int n) {
int answer = 0;
Arrays.sort(array);
for(int i=0; i<array.length; i++){
if(i == 0 || Math.abs(array[i]-n) < Math.abs(answer-n)){ // i == 0 || 추가
answer = array[i];
} else if(answer == n){
break;
}
}
return answer;
}
}
일단 배열을 sort로 오름차순 정렬을 해줍니다.
i == 0는 배열의 첫 번째 요소에 대한 조건이고
Math.abs(array[i] - n) < Math.abs(answer - n)는 현재까지의 가장 가까운 값인 answer와 현재 배열 요소 array[i] 간의 거리를 비교합니다.
만약 현재 배열 요소가 더 가까우면 answer를 해당 값으로 갱신합니다.
💡 Math.abs()
주어진 숫자의 절댓값을 반환하는 java의 수학함수
2️⃣ 365게임
문제 설명
머쓱이는 친구들과 369게임을 하고 있습니다. 369게임은 1부터 숫자를 하나씩 대며 3, 6, 9가 들어가는 숫자는 숫자 대신 3, 6, 9의 개수만큼 박수를 치는 게임입니다. 머쓱이가 말해야하는 숫자 ord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머쓱이가 쳐야할 박수 횟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 1 ≤ order ≤ 1,000,000
입출력 예
order | result |
3 | 1 |
29423 | 2 |
입출력 예 #1
- 3은 3이 1개 있으므로 1을 출력합니다.
입출력 예 #2
- 29423은 3이 1개, 9가 1개 있으므로 2를 출력합니다.
💻 나의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order) {
int answer = 0;
while(order>0){
int game = order % 10;
if(game==3 || game==6 || game==9){
answer++;
}
order /= 10;
}
return answer;
}
}
order를 10으로 나누어 각 자릿수를 확인하고, 그 나머지가 369이면 answer를 증가시킵니다.
🔎 다른 사람의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order) {
int answer = 0;
String str = order+"";
for(int i=0; i<str.length(); i++){
char c = str.charAt(i);
if(c=='3'||c=='6'||c=='9') answer++;
}
return answer;
}
}
메서드를 쓰지 않고 " "를 이용해서 문자열로 바꾼 다음 charAt()을 쓰는 방법도 있네요. 👍
나만 빼고 천재야..?
3️⃣ 암호 해독
문제 설명
군 전략가 머쓱이는 전쟁 중 적군이 다음과 같은 암호 체계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 암호화된 문자열 cipher를 주고받습니다.
- 그 문자열에서 code의 배수 번째 글자만 진짜 암호입니다.
문자열 cipher와 정수 cod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해독된 암호 문자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1 ≤ cipher의 길이 ≤ 1,000
- 1 ≤ code ≤ cipher의 길이
- cipher는 소문자와 공백으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 공백도 하나의 문자로 취급합니다.
입출력 예
cipher | code | result |
"dfjardstddetckdaccccdegk" | 4 | "attack" |
"pfqallllabwaoclk" | 2 | "fallback" |
입출력 예 #1
- "dfjardstddetckdaccccdegk" 의 4번째, 8번째, 12번째, 16번째, 20번째, 24번째 글자를 합친 "attack"을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 "pfqallllabwaoclk" 의 2번째, 4번째, 6번째, 8번째, 10번째, 12번째, 14번째, 16번째 글자를 합친 "fallback"을 return합니다.
💻 나의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cipher, int code)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ring[] cp = cipher.split("");
for(int i=0; i<cp.length; i++) {
if((i+1)%code == 0){
sb.append(cp[i]);
}
}
return sb.toString();
}
}
🔎 다른 사람의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cipher, int code) {
String answer = "";
for (int i = code; i <= cipher.length(); i = i + code) {
answer += cipher.substring(i - 1, i);
}
return answer;
}
}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cipher, int code) {
String answer = "";
for(int i=code-1; i<cipher.length(); i+=code){
answer += cipher.substring(i, i+1);
}
return answer;
}
}
4️⃣ 대문자와 소문자
문제 설명
문자열 my_str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대문자는 소문자로 소문자는 대문자로 변환한 문자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1 ≤ my_string의 길이 ≤ 1,000
- my_string은 영어 대문자와 소문자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입출력 예
my_string | result |
"cccCCC" | "CCCccc" |
"abCdEfghIJ" | "ABcDeFGHij" |
입출력 예 #1
- 소문자는 대문자로 대문자는 소문자로 바꾼 "CCCccc"를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 소문자는 대문자로 대문자는 소문자로 바꾼 "ABcDeFGHij"를 return합니다.
💻 나의 풀이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my_string) {
String answer = "";
for(int i=0; i<my_string.length(); i++) {
if(Character.isUpperCase(my_string.charAt(i))) {
answer += Character.toLowerCase(my_string.charAt(i));
} else {
answer += Character.toUpperCase(my_string.charAt(i));
}
}
return answer;
}
}
메소드를 이용해서 해결했습니다.
'프로그래머스 > 0단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16 문자열, 수학, 배열, 조건문 (0) | 2023.12.04 |
---|---|
DAY15 문자열, 해시, 배열, 수학 (1) | 2023.12.02 |
DAY13 문자열, 배열, 사칙연산, 수학, 조건문 (1) | 2023.11.30 |
DAY12 문자열, 정렬, 사칙연산, 수학 (1) | 2023.11.29 |
DAY11 수학, 반복문 (1) | 202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