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자열 밀기
문제 설명
문자열 "hello"에서 각 문자를 오른쪽으로 한 칸씩 밀고 마지막 문자는 맨 앞으로 이동시키면 "ohell"이 됩니다. 이것을 문자열을 민다고 정의한다면 문자열 A와 B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A를 밀어서 B가 될 수 있다면 밀어야 하는 최소 횟수를 return하고 밀어서 B가 될 수 없으면 -1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 0 < A의 길이 = B의 길이 < 100
- A, B는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A | B | result |
"hello" | "ohell" | 1 |
"apple" | "elppa" | -1 |
"atat" | "tata" | 1 |
"abc" | "abc" | 0 |
입출력 예 #1
- "hello"를 오른쪽으로 한 칸 밀면 "ohell"가 됩니다.
입출력 예 #2
- "apple"은 몇 번을 밀어도 "elppa"가 될 수 없습니다.
입출력 예 #3
- "atat"는 오른쪽으로 한 칸, 세 칸을 밀면 "tata"가 되므로 최소 횟수인 1을 반환합니다.
입출력 예 #4
- "abc"는 밀지 않아도 "abc"이므로 0을 반환합니다.
💻 나의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A, String B) {
int answer = -1;
// A와 B가 같은 경우
if(A.equals(B)){
answer = 0;
}
// 문자열 A를 회전하여 B를 만들 수 있는 경우
for(int i=0; i<A.length(); i++)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 문자열 A를 회전하여 만들 수 있는 문자열 생성
for(int j=A.length()-i; j<A.length(); j++) {
sb.append(A.charAt(j));
}
for(int j=0; j<A.length()-i; j++) {
sb.append(A.charAt(j));
}
// 생성된 문자열이 B와 일치하는지 확인
if(sb.toString().equals(B)) {
answer = i; // 일치하는 경우 회전 횟수를 저장하고 반복 종료
break;
}
}
return answer;
}
}
먼저 밀지 않아도 같은 경우엔 0을 반환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A의 길이만큼 반복하면서 문자열 A를 회전시켜서 B를 만들 수 있는 경우를 탐색하는데 StringBuilder를 사용했습니다.
for (int j = A.length() - i; j < A.length(); j++) 코드는 A를 오른쪽으로 i번 회전시킨 부분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for (int j = 0; j < A.length() - i; j++) 코드는 나머지 부분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charAt(int index)를 사용하여 문자열에서 특정 위치에 있는 문자를 가져옵니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문자열이 B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일치하면 answer에 회전 횟수를 저장하고 반복을 종료합니다.
🔎 다른 사람의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A, String B) {
String tempB = B.repeat(3); // 문자열 B를 3번 반복한 새로운 문자열 생성
return tempB.indexOf(A); // 새로운 문자열에서 문자열 A가 처음 등장하는 위치의 인덱스 반환
}
}
너무 신박해서.. 현타오는 다른 사람들의 풀이 ㅎㅎ;
- B.repeat(3): 문자열 B를 3번 반복하여 새로운 문자열 tempB를 생성합니다.
- tempB.indexOf(A): 생성된 문자열 tempB에서 문자열 A가 처음 등장하는 위치의 인덱스를 반환합니다. 만약 A가 tempB에 없다면 -1을 반환합니다.
여기서 문자열 B를 3번 반복한다는게 무슨 뜻이냐?
문자열 B를 3번 반복한다는 것은 문자열 B를 3번 이어붙인 새로운 문자열을 만든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B가 "abc"라면, B를 3번 반복한 문자열은 "abcabcabc"가 됩니다.
그 후에는 tempB.indexOf(A)를 사용하여 문자열 A가 tempB에서 처음 등장하는 위치의 인덱스를 찾습니다. 이 위치를 반환합니다. 만약 A가 tempB에 존재하지 않으면 -1이 반환됩니다.
2️⃣ 종이 자르기
문제 설명
머쓱이는 큰 종이를 1 x 1 크기로 자르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2 x 2 크기의 종이를 1 x 1 크기로 자르려면 최소 가위질 세 번이 필요합니다.
정수 M,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M x N 크기의 종이를 최소로 가위질 해야하는 횟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 0 < M, N < 100
- 종이를 겹쳐서 자를 수 없습니다.
입출력 예
M | N | result |
2 | 2 | 3 |
2 | 5 | 9 |
1 | 1 | 0 |
입출력 예 #1
- 본문과 동일합니다.
입출력 예 #2
- 가로 2 세로 5인 종이는 가로로 1번 세로로 8번 총 가위질 9번이 필요합니다.
입출력 예 #3
- 이미 1 * 1 크기이므로 0을 return 합니다.
💻 나의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M, int N) {
return (M*N)-1;
}
}
그림이 나와서 쫄았지만 규칙을 찾아보니 넘나 쉬운 문제 였습니다!
3️⃣ 연속된 수의 합
문제 설명
연속된 세 개의 정수를 더해 12가 되는 경우는 3, 4, 5입니다. 두 정수 num과 total이 주어집니다. 연속된 수 num개를 더한 값이 total이 될 때, 정수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담아 return하도록 solution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 1 ≤ num ≤ 100
- 0 ≤ total ≤ 1000
- num개의 연속된 수를 더하여 total이 될 수 없는 테스트 케이스는 없습니다.
입출력 예
num | total | result |
3 | 12 | [3, 4, 5] |
5 | 15 | [1, 2, 3, 4, 5] |
4 | 14 | [2, 3, 4, 5] |
5 | 5 | [-1, 0, 1, 2, 3] |
입출력 예 #1
- num = 3, total = 12인 경우 [3, 4, 5]를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 num = 5, total = 15인 경우 [1, 2, 3, 4, 5]를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3
- 4개의 연속된 수를 더해 14가 되는 경우는 2, 3, 4, 5입니다.
입출력 예 #4
- 설명 생략
💻 나의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 int total) {
int[] answer = new int[num];
int mid = total / num; // 연속된 수의 중앙값
int first; // 연속된 수의 첫 번째 값
if(num % 2 == 0) { // num이 짝수
first = mid - num/2 + 1;
} else { // num이 홀수
first = mid - num/2;
}
for(int i=0; i<num; i++) { // 연속된 숫자 배열 생성
answer[i] = first++;
}
return answer;
}
}
오늘의 4개의 문제 중에 가장 헤맸던 문제입니다. 개념 자체는 어렵지 않은거 같은데 잘 안되더라구요.
먼저 결과를 저장할 배열의 길이를 num으로 초기화 했습니다.
그리고 연속된 수의 중간값을 계산해주는데 중간값은 total을 num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씁니다.
first는 연속된 수의 첫 번째 값을 담을 변수 입니다.
num이 짝수인 경우 즉, num이 2로 나누어 떨어질 때 첫번째 값은 중간값에서 num/2를 빼주고 1을 더해줘야만 합니다.
num이 홀수인 경우 즉, num이 2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을 때의 첫번째 값은 중간값에서 num/2를 빼주면 됩니다.
num만큼 순회하는 for 루프를 통해서 배열 answer을 채워주고 반환해줍니다.
🔎 다른 사람의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 int total) {
// 결과를 저장할 배열 초기화
int[] answer = new int[num];
// 등차수열의 합을 계산하여 check에 저장
int check = num * (num + 1) / 2;
// 시작 숫자 계산
int start = (total - check) / num + 1;
// 배열에 순차적으로 값을 할당
for (int i = 0; i < answer.length; i++) {
answer[i] = start + i;
}
// 결과 배열 반환
return answer;
}
}
수학 공식을 활용한 풀이 입니다.
1부터 n까지의 자연수 합을 구하는 공식은 (n*(n+1)) / 2 입니다.
이 공식을 활용하여 기본형 total 값에서 구하려고 하는 total 값을 빼고 시작점을 찾기 위해 num으로 나눈 후에 1를 더해줍니다.
- check = num * (num + 1) / 2: 등차수열의 합 공식을 이용하여 연속된 숫자의 합을 계산합니다.
- start = (total - check) / num + 1: 시작 숫자를 계산합니다. 총 합에서 등차수열의 합을 빼고, 숫자의 개수로 나눈 값에 1을 더합니다.
- for 루프를 통해 배열 answer를 채웁니다. 시작하는 숫자는 start이며, 순서대로 증가하면서 배열에 저장합니다.
- 생성된 배열 answer를 반환합니다.
4️⃣ 다음에 올 숫자
문제 설명
등차수열 혹은 등비수열 comm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마지막 원소 다음으로 올 숫자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 2 < common의 길이 < 1,000
- -1,000 < common의 원소 < 2,000
- common의 원소는 모두 정수입니다.
- 등차수열 혹은 등비수열이 아닌 경우는 없습니다.
- 등비수열인 경우 공비는 0이 아닌 정수입니다.
입출력 예
common | result |
[1, 2, 3, 4] | 5 |
[2, 4, 8] | 16 |
입출력 예 #1
- [1, 2, 3, 4]는 공차가 1인 등차수열이므로 다음에 올 수는 5이다.
입출력 예 #2
- [2, 4, 8]은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다음에 올 수는 16이다.
💻 나의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common) {
int answer = 0;
// 등차수열인 경우
if(common[1]-common[0] == common[2]-common[1]) {
answer = common[common.length-1] + (common[1]-common[0]);
} else { // 등비수열인 경우
answer = common[common.length-1] * (common[1]/common[0]);
}
return answer;
}
}
등차수열 등비수열 이라는 단어를 본 게 너무 오랜만이에요...
이렇게 드디어 0단계가 끝났습니다...!
일단 하루에 4문제씩 꾸준히 풀고 풀이를 이해하면서 기록하자고 다짐했던 것이 지켜져서 만족스럽습니다.
그리고 if문, for문 등의 간단한 문법들과 여러가지 함수들 그리고 기본적인 풀이법들이 많이 체화된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수업듣는다, 자바 언어 공부한다, 프로젝트 한다 등등의 핑계로 코테 푸는 것을 미뤘었는데...살짝 후회가 되네요. 잘 몰라도 더 일찍 시작했다면 좋았을 걸 싶어요. 확실히 직접 부딪히고 써보니까 백날천날 강의 듣는 것보다 습득이 되는 느낌이 확 들거든요.
앞으로의 계획은
0단계 중에 특히나 어려웠던 문제들을 다시 한번씩 보고 더 효율적인 풀이도 있는지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질겁니다.
그 후엔 알고리즘에 관한 강의를 하나 들으면서 1단계를 시작해볼까 해요. 속도가 좀 더디더라도 기본적인 개념을 좀 잡고 가야 훨씬 효율적인 풀이가 나올 것 같습니다. 😀
'프로그래머스 > 0단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24 수학, 시뮬레이션, 문자열, 조건문, 반복문 (0) | 2023.12.14 |
---|---|
DAY23 배열, 정렬, 문자열 (0) | 2023.12.13 |
DAY22 dp, 수학, 조건문, 배열 (1) | 2023.12.11 |
DAY21 문자열, 사칙연산,시뮬레이션, 2차원배열, 수학, 배열 (1) | 2023.12.09 |
DAY20 수학, 시뮬레이션, 문자열, 사칙연산 (1) | 2023.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