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irective tag

  • page directive
    • 문법: <%@ page 속성명="속성값" %>
    • 기능: jsp에게 특정 설정정보를 지정할 때 사용됨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  한글 출력시

서블릿의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과 동일 기능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import="java.util.ArrayList.java.util.Date"  ⇒  jsp에서 사용하는 클래스의 패키지를 import 할 때

일반적으로 여러번 사용한다. 👇👇👇

<%@ page import="java.util.ArrayList" %>
<%@ page import="java.util.Date" %>
<%@ page import="java.util.ArrayList" %>


<%@ page import="java.util.Date" %>

 

 

 

// 현재  jsp
errorPage="error.jsp"  ⇒  현재 jsp파일에서 예외가 발생했을 때 처리하는 에러 페이지를 지정
// error.jsp
isErrorPage="true"  ⇒  error.jsp 파일이 예외처리를 할 수 있는 jsp라고 지정하는 방법

 

 

 

session="false"  ⇒   기본은 true. false로 지정하면 HttpSession 사용 불가

 

 

 

 


 

 

  • include directive
    • 문법: <%@ include file="jsp파일" %> ← 지정된 위치에 ‘jsp파일’ 내용으로 치환된다. (정적)
              <jsp:include page="jsp파일" flush="true"  /> ← 지정된 위치에 ‘jsp파일’이 실행결과값으로 치환된다. (동적)
    • 용도: 화면 재사용

 



 

 

 

 


 

 

  • taglib directive
    • 문법: <%@ taglib prefix="태그 식별자" uri="경로" %>
    • 용도: 현재 JSP 페이지에 표현 언어(EL), JSTL, 사용자 정의 태그(custom tag)와 같은 태그 라이브러리를 설정한느 태그임

 

 

 

 


 

 

 

2️⃣ Declaration tag

  • 거의 사용 안함
  • 문법: <%! 자바코드 %>
  • 서블릿의 doGet 제외한 멤버변수, 멤버메서드 동작
    예)
public class TestServlet extends HttpServlet{

	int num = 10;    //멤버변수
	public void a(){}    //멤버 메서드

	public void doGet(){
	}
}
✅ 서블릿과 jsp 비교


 

 

 

 


 

 

 

3️⃣ scriptlet tag

  • 가장 많이 사용됨
  • 문법: <% 자바코드 %>
  • 서블릿의 doGet(doPost)에서 했던 작업

 

 

✅ jsp에서 hello world 5번 출력하는 코드


 

 

 

 


 

 

4️⃣ expression tag

  • 문법: <%= 변수 %>
  • 변수값을 브라우저에 출력할 때 사용
  • 서블릿에서 out.print (변수) 와 동일 기능
num값 출력하기 비교

✅ jsp 코드 자세히

 

'Programming Language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시판 구축 프로젝트(3) - 글 자세히 보기  (0) 2023.08.18
게시판 구축 프로젝트(2) - 글쓰기  (0) 2023.08.18
게시판 구축 프로젝트  (0) 2023.08.17
내장객체 (내장변수)  (0) 2023.08.17
JSP  (0) 2023.08.17
xoo | 수진